반응형

 감정은 통제할 수 없다. 감정은 환경에 의해 생기며 환경은 과거가 만들어낸 산물이다. 때문에 현재의 감정은 과거가 쌓여 만들어 졌고 과거는 바꿀 수가 없다. 우리는 환경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환경의 일부일 뿐이다. 영향력이라는건 아주 미미하다. 그래서 우리는 환경에 적응해서 살아간다.

 자존감도 감정의 일부이다. 나의 존재를 환경속에서 느끼는 감정이다. 자존감이 강하면 주위 시선을 빨아들인다. 자존감은 성취와 목표를 거쳐 자신감으로 발전하게 되고 자신감은 실제로 나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자신감은 보통 사람들의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실제로도 그렇다. 그런데 자신감과 자존감이라는 감정은 한번에 뚝딱 만들어지지 않는다. 과거의 경험에 산물이기 때문이다.

 자신감은 자존감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자신감은 사람들을 불러모으며 어떤 목표를 이루는 능력을 만들어 준다. 자신감이 쌓이고 성공한 경험이 많아진 사람은 그 분야의 리더가 될 수 있다. 리더의 능력이 발현되었을때 사람들은 리더를 따르기 시작하며 리더는 조직을 구성할 수 있다. 조직은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구성원들에게 소속감을 부여하고 목표를 달성하게 하며 갈등을 봉합한다.

 목표를 달성하게 만드는 조직은 리더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사람들은 리더의 자신감을 보고 안정감을 얻으며 조직에서 역량을 발휘하게 된다. 자신감이 결여된 조직은 경쟁에서는 패배하고 보기에 그저그런 동호회로 전락하게 된다. 따라서 리더는 자신감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목표를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 사냥감을 놓치는 리더는 조직을 구성할 수 없으며 샤냥 불가능한 조직은 조직이라 할 수도 없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모든 시발점은 리더의 자신감으로부터 출발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