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떻게 저렇게 살까 하는 질문이있다. 하지만 우리가 질문해야 할 건 왜 저렇게 사는지이다. 사람들은 방법을 궁금해한다. 열정적으로 어딘가에 몰입하면 어떻게 저런지 궁금해한다. 본받을려고 한다. 그러나 정말로 배워야 할건 이유이다. 열정적인 이유 말이다. 이유는 방법에 앞서있다. 

 이유는 사실 현실에 없다. 현실에 나온 이유는 가짜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이유를 대지만 가짜다. 이유는 마음 깊은 곳에 있다. 그래서 누군가의 이유를 알려면 극한에 도달해야 알 수 있다. 면접에서 압박을 주는 이유, 위기 상황에서 본심이 나오는 이유이다. 진짜 이유는 마음 깊이 숨겨둔다.

 살아가는 이유는 절박할 때 등장한다. 절박함은 강한 이유이다. 생존이 위협받을 때 절박한 행동이 나온다. 하지만 지금은 그럴 일이 없다. 야수를 만날 일도 음식이 떨어질 일도 없다. 그래서 우리는 남과 비교하고 빈부격차를 이용해 살아갈 이유를 찾는다.

 한편 절실함은 시간을 인식하는데서도 나온다. 생명은 한정된 시간을 가지고 있다. 시간 안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절실함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대적 빈곤 또는 제한된 목표로 우리는 절실해 진다. 

 결국 자신이 살아가는 이유를 아는것은 쉽지 않다. 삶의 시간이 많이 없다는걸 알기 힘들기 때문이다. 젊고 건강할수록 상대적 빈곤을 넘기 위해 살아간다. 경쟁사회에서 이는 보람찬 면이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제한된 시간을 깨닫는다. 초조해질 지도 모른다. 긍정적인 면은 절실함은 초조함을 지나는 도착점인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